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 Stimulation Test

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 Stimulation Test
정상 참고치:
ACTH 투여 전:
고양이: 1.0-4.5 μg/dL
개 : 1.0-4.5 μg/dL
ACTH 투여 후:
고양이 : 4.5-15.0 μg/dL
13-16 μg/dL : 부신피질 기능항진증을 의심해야 하며
>16 μg/dL : 강력하게 의심해야 한다
개 : 5.5-20.0 μg/dL
18-24 μg/dL: 부신피질 기능항진증을 의심해야 하며
>24 μg/dL : 강력하게 의심해야 한다.
해석
  • 위음성 : 15~20% 의 환자
  • 위양성의 경우 검사중 스트레스를 받았거나 부신피질 기능항진증 이외 다른 질환이 있었을 때 나타날 수 있다.
  • 의인성 부신피질 기능항진증 : ACTH 투여전 cortisol의 농도는 정상수준이면서 ACTH 투여 후 cortisol 농도의 변화가 거의 없거나 미약한 증가만을 보이는 경우
  • 부신피질 기능저하증 : ACTH 투여전 cortisol 의 농도는 정상을 하회하면서 ACTH 투여 후 cortisol의 농도 또한 변화가 작거나 없는 경우
  • Mitotane 투약 모니터링 :
    • ACTH 투여전 및 투여후 모두 1~5 μg/dL 사이로 나타나는 경우 치료용도로 투약된 Lysodren이 적절하게 투약되었거나 Lysodren 치료가 잘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Trilostane 투약 모니터링
    • <1.45 μg/dL로 측정되는 경우 투약을 중단하고 낮은 용량으로 투여를 다시 시작하여야 하며
    • 1.45-5.4 μg/dL로 측정되는 경우 투약 용량을 유지해야 하고
    • 5.4-9.1 μg/dL로 측정되는 경우 임상증상이 잘 조절 되고 있는 상태라면 투여용량을 유지해야 하지만
      • 임상증상이 나타난다면 투여 용량을 높여야 한다.
    • >9.1 μg/dL일 경우에는 투여 양을 높여야 한다.
참고 : ACTH 자극 시험은 뇌하수체 의존성 및 부신 종양성 부신피질 기능항진증을 감별할 수 없으며 감별이 필요한 경우 HDDST(high-dose dexamethasone suppression test) 를 실시해야 한다.
LDDST(low-dose dexamethasone suppression test)가 ACTH 자극 시험에 비해 정확도가 약간 높은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약물 투약이 잘되고 있는지에 대한 모니터링은 ACTH 자극 시험만 할 수 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고양이 구토의 원인

feline bates body ; 비만고양이 지방층염의 석회화

고양이 탈모(alopecia)의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