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의 설사 원인 , 카테고리별 분류
반려견의 설사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크게 급성 설사와 만성 설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각각의 원인을 상세히 카테고리화한 리스트입니다.
급성 설사(Acute Diarrhea)
-
식이 관련 (Dietary)
- 급격한 식단 변경
- 식이 부주의 (e.g., 쓰레기 섭취, 부패한 음식)
- 독성 식물 섭취
-
감염성 (Infectious)
- 바이러스성: 파보바이러스(CPV), 코로나바이러스, 디스템퍼 바이러스
- 박테리아성: 살모넬라(Salmonella spp.), 캠필로박터(Campylobacter spp.),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 기생충성: 회충(Toxocara spp.), 편형동물(Dipylidium caninum), 구충(Ancylostoma spp.), 편모충(Giardia spp.)
- 원충성: 크립토스포리디움(Cryptosporidium spp.), 이소스포라(Cystoisospora spp.)
-
독소 및 약물
- 항생제에 의한 장내 미생물 환경 변화
- NSAIDs 및 기타 약물
- 독성 물질(예: 중금속, 부식성 화학물질)
-
스트레스
- 환경 변화 (이사, 새로운 반려동물 도입 등)
- 병원 방문 또는 긴장 상태
-
염증성
- 급성 출혈성 설사 증후군 (Acute Hemorrhagic Diarrhea Syndrome)
- 급성 장염/장대장염
-
기타
- 이물 섭취 및 장 폐색
- 췌장염, 간질환 등 관련 질환
만성 설사(Chronic Diarrhea)
-
감염성 (Infectious)
- 위의 급성 설사 원인에서 만성화된 경우
- 진균 감염 (e.g., 히스토플라스마증)
-
염증성 장질환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 면역 매개성 염증
- 조직 침윤 (e.g., 림프구-형질세포성, 호산구성)
-
기생충 재감염
-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내부 기생충
-
식이 및 알레르기
- 식이 불내성
- 특정 단백질 또는 탄수화물에 대한 과민반응
-
기능성 장애
- 소장 세균 과도 증식 (Small Intestinal Bacterial Overgrowth, SIBO)
- 항생제 반응성 설사 (Antibiotic-Responsive Diarrhea, ARD)
-
흡수 및 소화 장애
- 외분비 췌장 부전 (Exocrine Pancreatic Insufficiency, EPI)
- 단백질 소실성 장질환 (Protein-Losing Enteropathy, PLE)
- 림프관 확장증
-
종양성 질환
- 대장암, 림프종 등
-
전신성 질환
- 부신기능저하증 (Addison’s Disease)
- 갑상선기능항진증
진단 및 관리
반려견의 설사는 원인에 따라 진단 및 관리 접근법이 달라집니다. 급성 설사는 대개 증상이 경미하고 자가 한정적인 경우가 많으나, 지속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만성 설사는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정밀한 진단(혈액검사, 영상검사, 내시경, 조직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