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꼬리어/ 행동어 자료

1. 사회적 행동과 의사소통

  • 애정 표현(친사회적 행동):

    • 올로러빙(Allorubbing): 다른 고양이나 사람에게 몸을 문지르며 유대감을 형성.
    • 올로그루밍(Allogrooming): 다른 고양이를 핥아줌으로써 그룹 내 결속력 강화.
    • 사회적 구르기(Social Rolling): 배를 보이며 구르는 행동은 신뢰와 유대감을 나타냄.
    • 함께 있기: 다른 고양이 근처에서 시간을 보내거나 접촉을 지속하는 것.
  • 경계적 행동(공격적 및 방어적):

    • 하악질(Hissing): 위협을 받았을 때 자신을 방어하려는 신호.
    • 털 부풀리기: 자신을 더 크게 보이게 하여 위협으로부터 보호.
    • 꼬리 흔들기: 불안이나 흥분을 나타냄.
  • 탐색 및 놀이 행동:

    • 호기심 행동: 새로운 물건이나 환경을 탐색하며 냄새 맡기.
    • 사냥 놀이: 움직이는 물체를 쫓는 행동은 본능적 사냥감을 재현.

2. 환경 및 스트레스 반응

  • 스트레스 표시:

    • 숨기: 낯선 환경에서 고양이가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은신처를 찾음.
    • 과도한 그루밍: 스트레스를 받을 때 자기 몸을 과도하게 핥음.
    • 배변 문제: 스트레스나 불안으로 인해 부적절한 장소에 소변이나 대변을 봄.
  • 안정적 상태:

    • 눕기 및 천천히 깜빡이기: 고양이가 편안할 때 보이는 행동.
    • 코골기: 깊은 수면 상태에서 나타나며 안정감을 의미.

3. 놀이 및 사냥 본능

  • 장난감 사냥: 움직이는 장난감을 쫓거나 붙잡는 행동은 사냥 본능의 일부.
  • 사냥 자세:
    • 낮게 몸을 낮추고 꼬리를 흔들며 응시: 공격 전 사냥감을 겨냥하는 신호.
  • 포획 후 핥기: 사냥 후의 만족감을 표현.

4. 의사소통 신호

  • 청각적 신호:

    • 야옹: 주로 사람과의 의사소통에 사용되며 다양한 톤으로 감정을 표현.
    • 으르렁거림(Growling): 위협이나 불쾌감을 표현.
    • 짧은 울음: 주의를 끌거나 욕구를 표현.
  • 시각적 신호:

    • 눈 깜빡이기: 고양이 간 또는 사람과의 신뢰를 나타냄.
    • 꼬리 위치: 꼬리를 세우고 있는 것은 호의적이며, 낮거나 흔들리면 경계를 의미.
  • 후각적 신호:

    • 오줌 표시: 영역 표시 및 사회적 신호로 사용.
    • 얼굴 페로몬 분비: 얼굴을 문지르며 자신의 냄새를 남김.

5. 건강 관련 행동

  • 통증 표현:

    • 짧고 빈번한 소리: 통증을 나타낼 수 있음.
    • 움직임 감소: 관절 문제나 신체적 불편함을 암시.
  • 활동 감소: 질병이나 노화로 인해 낮은 활동성.

  • 식욕 변화:

    • 과식 또는 거부: 스트레스, 건강 문제와 관련.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feline bates body ; 비만고양이 지방층염의 석회화

sentinel loop sign

고양이 구토의 원인